원어(原語)로 감상하는 시선 이백의 정야사(靜夜思)
오랜만에 당시(唐詩) 한 수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당대(唐代)의 시문학(詩文學)은 중국문학사에서 고대 시선집(詩選集)인 시경(詩經)과 더불어 시문학을 대표하는 시기입니다.
당대 시문학의 두 거장은 바로 시선으로 일컬어지는 이백과 시성(詩聖) 두보입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이백의 정야사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고문체 (古文體)
우리나라 한자체 정야사
靜夜思
牀前看月光 (상전간월광)
疑是地上霜 (의시지상상)
擧頭望山月 (거두망산월)
低頭思故鄕 (저두사고향)
정야사 중국어 원어
현대문 백화체와 발음기호 한어병음 (성조표시는 생략합니다)
중국어 표기는 대륙식 간체자입니다. (대만은 정자체 = 한자체)
静夜思
床前明月光 (quang qian ming yue guang)
疑是地上霜 (yi shi di shang shuang)
举头望明月 (ju tou wang ming yue)
低头思故乡 (di tou si gu xiang)
정야사 해석
해석은 주관적인 가공이 가미된 의역입니다. 중국문학과 출신입니당 ^^;
밝은 달빛이 침상의 머리맡을 비추니
마치 땅 위에 하얗게 내린 서리인 듯하구나.
문득 고개 들어 밝은 달을 바라보니
고개 숙인 마음속엔 온통 고향생각뿐이라네.
結語
정야사는 중국 시문학의 황금기인 당대 시선 이백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손꼽히는 시입니다.
당 현종 시대 한림학사였던 이백이 안록산의 난 전후 귀양 갔을 때 고향을 그리며 지은 시입니다.
얼핏 보면 4언 절구로 짤막한 이 시가 어떻게 중국 시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인지 의아해 할 수도 있습니다만,,
- 이 시의 역사적 배경과 절제된 댓구(對句)와
- 운율에서 느껴지는 정형미의 아름다움(美),
- 그리고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듯한 문언체의 회화적 표현을 이해한다면,,
가히 정형 시문학의 백미라 할 수 있는 작품입니다.
이제 생동감 넘치는 봄이 오는 길목에서 비록 계절적으로 가을은 아니지만, 얼마 전 정월대보름 보름달을 보면서 문득 이백의 정야사가 떠올라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가끔씩 내려놓음의 여유가 필요할 때 차 한잔을 음미하며, 이러한 시간과 어울리는 밤하늘을 바라볼 때 문득 떠오르는 잔잔한 시구(詩句)입니다.
[중국의 名詩] 北門 (詩經)
北門 出 自 北 門 憂 心 殷 殷 終 窶 且 貧 莫 知 我 艱 天 實 爲 之 謂 之 何 哉 王 事 適 我 政 事 一 埤 益 我 ... 중략 ... (해석 ▼) 거리 북문을 나서면내 마음 시름겨워 우울하다.언제나 누더기
mary-ann.tistory.com
李白의 將進酒 [唐詩] -한어병음표기
詩仙 李白의 將進酒 중국문학사에 있어 당나라 시대는 詩가 흥했던 시대이며, 그중에서도 詩仙 이백(이태백)과 詩聖 두보는 중국 詩문학의 양대 산맥이었습니다. 詩仙이라는 칭호답게 이백의
mary-ann.tistory.com
장량과 한신, 知覺進退와 兎死狗烹
장량과 한신, 知覺進退와 兎死狗烹 [楚漢爭覇之英雄] 장량과 한신은 소하, 진평과 더불어 楚漢爭覇 과정에서 한이 승리를 할 수 있도록 가장 크게 기여한 劉邦의 공신입니다. 장량과 한신은 모
mary-ann.tistory.com
경국지색 포사와 중국판 양치기 소년 이야기
경국지색(傾國之色) 포사 중국판 양치기 소년 이야기 경국지색과 중국 4대 미인 한 나라의 운명을 기울게 할만한 경국지색 중에서 중국 4대 미인이라고 한다면 서시, 우희, 양귀비는 꼭 포함되고
mary-ann.tistory.com
관포지교, 제나라 관중과 포숙의 이야기
管鮑之交 제나라 管仲과 鮑叔牙의 이야기, 그 가난한 시절의 우정 紂王과 달기의 폭정에 항거하여 商(殷)을 정벌하고 중원을 차지한 종주국 周나라의 국력이 쇠락하자 봉건 제후국들의 발호가
mary-ann.tistory.com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