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原語)로 감상하는 시선 이백의 정야사(靜夜思)

 

오랜만에 당시(唐詩) 한 수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당대(唐代)의 시문학(詩文學)은 중국문학사에서 고대 시선집(詩選集)인 시경(詩經)과 더불어 시문학을 대표하는 시기입니다.

당대 시문학의 두 거장은 바로 시선으로 일컬어지는 이백과 시성(詩聖) 두보입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이백의 정야사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밤-하늘-보름달
보름달

 

 고문체 (古文體)

 

우리나라 한자체 정야사

 

靜夜思

 

牀前看月光 (상전간월광)

疑是地上霜 (의시지상상)

擧頭望山月 (거두망산월)

低頭思故鄕 (저두사고향)

 

소나무와-밤하늘-보름달
소나무와 보름달

 

 정야사 중국어 원어

 

현대문 백화체와 발음기호 한어병음 (성조표시는 생략합니다)

중국어 표기는 대륙식 간체자입니다. (대만은 정자체 = 한자체)

 

静夜思

 

床前明月光   (quang qian ming yue guang)

疑是地上霜    (yi shi di shang shuang)

举头望明月    (ju tou wang ming yue)

低头思故乡    (di tou si gu xiang)

 

산등성이-밤하늘-명월

 

 정야사 해석

 

해석은 주관적인 가공이 가미된 의역입니다. 중국문학과 출신입니당 ^^;

 

밝은 달빛이 침상의 머리맡을 비추니

마치 땅 위에 하얗게 내린 서리인 듯하구나.

문득 고개 들어 밝은 달을 바라보니

고개 숙인 마음속엔 온통 고향생각뿐이라네.

 

이태백-동양화-이미지
唐代 詩仙 이태백(이백)

 

 結語

 

정야사는 중국 시문학의 황금기인 당대 시선 이백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손꼽히는 시입니다.

당 현종 시대 한림학사였던 이백이 안록산의 난 전후 귀양 갔을 때 고향을 그리며 지은 시입니다.

 

얼핏 보면 4언 절구로 짤막한 이 시가 어떻게 중국 시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인지 의아해 할 수도 있습니다만,,

 

  • 이 시의 역사적 배경과 절제된 댓구(對句)와
  • 운율에서 느껴지는 정형미의 아름다움(美),
  • 그리고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듯한 문언체의 회화적 표현을 이해한다면,,

 

가히 정형 시문학의 백미라 할 수 있는 작품입니다.

 

이제 생동감 넘치는 봄이 오는 길목에서 비록 계절적으로 가을은 아니지만, 얼마 전 정월대보름 보름달을 보면서 문득 이백의 정야사가 떠올라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가끔씩 내려놓음의 여유가 필요할 때 차 한잔을 음미하며, 이러한 시간과 어울리는 밤하늘을 바라볼 때 문득 떠오르는 잔잔한 시구(詩句)입니다.

 

[중국의 名詩] 北門 (詩經)

 

[중국의 名詩] 北門 (詩經)

北門 出 自 北 門 憂 心 殷 殷 終 窶 且 貧 莫 知 我 艱 天 實 爲 之 謂 之 何 哉 王 事 適 我 政 事 一 埤 益 我 ... 중략 ... (해석 ▼) 거리 북문을 나서면내 마음 시름겨워 우울하다.언제나 누더기

mary-ann.tistory.com

李白의 將進酒 [唐詩] -한어병음표기

 

李白의 將進酒 [唐詩] -한어병음표기

詩仙 李白의 將進酒 중국문학사에 있어 당나라 시대는 詩가 흥했던 시대이며, 그중에서도 詩仙 이백(이태백)과 詩聖 두보는 중국 詩문학의 양대 산맥이었습니다. 詩仙이라는 칭호답게 이백의

mary-ann.tistory.com

장량과 한신, 知覺進退와 兎死狗烹

 

장량과 한신, 知覺進退와 兎死狗烹

장량과 한신, 知覺進退와 兎死狗烹 [楚漢爭覇之英雄] 장량과 한신은 소하, 진평과 더불어 楚漢爭覇 과정에서 한이 승리를 할 수 있도록 가장 크게 기여한 劉邦의 공신입니다. 장량과 한신은 모

mary-ann.tistory.com

경국지색 포사와 중국판 양치기 소년 이야기

 

경국지색 포사와 중국판 양치기 소년 이야기

경국지색(傾國之色) 포사 중국판 양치기 소년 이야기 경국지색과 중국 4대 미인 한 나라의 운명을 기울게 할만한 경국지색 중에서 중국 4대 미인이라고 한다면 서시, 우희, 양귀비는 꼭 포함되고

mary-ann.tistory.com

관포지교, 제나라 관중과 포숙의 이야기

 

관포지교, 제나라 관중과 포숙의 이야기

管鮑之交 제나라 管仲과 鮑叔牙의 이야기, 그 가난한 시절의 우정 紂王과 달기의 폭정에 항거하여 商(殷)을 정벌하고 중원을 차지한 종주국 周나라의 국력이 쇠락하자 봉건 제후국들의 발호가

mary-ann.tistory.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