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그로의 뜻, 유튜브와 한국 사회 일상⋯
- 구피 방류, 방생 아닌 이기적인 생명 경⋯
- 한국 여권 지수 세계 TOP3, 대한민국 여⋯
- 개인주의와 이기주의의 차이점, 이기적⋯
- 아르메니아 소녀들이 한글 피켓을 든 이⋯
- 구미호 캐릭터 한국 토종여우의 부활과⋯
- 주예지 용접공 비하 발언, 커뮤니티·SN⋯
- 유튜버 금지! '노튜버존'이 늘어나는 이유
- 손흥민 번리전 80m 단독 드리블 인생골,⋯
- 인도차이나 반도 '남중국해vs동해' 분쟁⋯
- 지소미아 종료 조건부 연장 유예 배경⋯
- 딸기독화살개구리 블루진, 개체의 희생⋯
- 미세먼지에 좋은 음식, 삼겹살은 효과가⋯
- 천리마마트 3회, 백수로 죽은 아빠 취업⋯
- 황의조 리그 2호골, 리그앙 9라운드 베⋯
Golden Compass :: 골든컴퍼스
6.4 지방선거의 판세와 특징 본문
2014 6.4 지방선거의 특징과 절묘한 민심
6.4 지방선거가 끝나고 현재 개표상황도 거의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습니다.
이번 선거의 최종 투표율은 56.8%로 16년 만에 최대치라고 하는데 아무래도 사전투표가 투표율 상승에 일조한 것은 틀림없는듯 합니다.
하지만 민의가 제대로 반영되려면 최소한 70% 이상은 되야 하는데 여전히 아쉽네요.
어쨌든 이번 지방선거는 투표율 외에도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을 나타냈는데 이런 부분들을 한 번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누구의 편도 들지 않은 민심
여당과 야당은 각각 스스로 선전했다는 자평을 내놓고 있습니다.
여당 vs 야당의 광역자지단체장 판세 또한 기존의 9대8에서 8대9로 소폭 역전된 것을 보면 유권자들은 시국을 반영하는듯 하면서도 일방적으로 어느 한 편을 들어주지는 않는 절묘한 민심을 드러냈습니다.
진보 성향의 교육감 다수 당선
이번 교육감 선거의 판세는 진보성향의 후보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거의 휩쓸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수도권 뿐만 아니라 보수적 성향이 강한 지역에서도 교육감 선거만큼은 진보적 성향의 후보들이 다수 당선되었다는 것은 주목할만한 이번 6.4 지방·교육감선거의 특징이라 할만 합니다.
야당의 충청권 석권
충남, 충북, 대전, 세종시의 단체장 당선자가 모두 야당 후보라는 것도 특징적인 사안으로 주목할만 합니다.
서울 vs 경기·인천으로 분할된 수도권 판세와 달리 중원에서는 야당이 압도적인 승리를 함으로써 광역자치단체장 숫자에서 역전하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된 것입니다.
6.4 지방선거의 제2라운드 7.30 국회의원 재보선
여야 대결은 이제 7.30 국회의원 재보선으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번 지방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다수의 국회의원직들이 의원직을 반납했기 때문이죠.
더구나 이번에 치러질 재보선의 지역구가 16곳인데다,, 정동영, 손학규, 김문수, 오세훈 등.. 거물급 정치인들이 이번 재보선을 통해 정계복귀를 노리고 있어 가히 '미니 총선'이라 불릴만 하게 된 것도 이번 6.4 지방선거로 인한 특이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투표는 국민의 기본권이자 주권의 주체로서 스스로 행해야 할 의무입니다.
민의가 제대로 반영되려면 지금보다 더 높은 투표참여율을 나타내야만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소수에 의한 지배, 혹은 잘못된 정치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면죄부가 되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서도 앞으로 투표율이 꾸준히 증가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6.4 지방선거와 관련된 포스트를 마칩니다..
<참정권과 관련된 글>
19대 총선, 지금 바뀌지 않더라도 투표는 해야 합니다 [선거와 투표& 이 세대의 책임]
반드시 투표를 해야 하는 이유 [제18대 대통령 선거 D-4]
제18대 대통령선거, 후보들의 주요 공약 & 투표에서도 소외된 근로자들...
-
임팩타민 2014.06.05 09:29 신고 아침이 되니까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하네요! 마지막표까지 긴장을 늦출수 없겠죠!
-
메리앤 2014.06.05 09:43 신고 판도는 아마 거의 나온듯 하네요. ^^
-
드래곤포토 2014.06.05 12:47 신고 교육감은 예전처럼 임명제로 했으면 합니다.
교육까지 정치판으로 만들어 교육현장까지 쌈박질이네요 -
메리앤 2014.06.06 00:24 신고 엽관제라도 단점만 있는 것도 아니다보니.. 그런 의견도 있는듯 합니다.
-
Mind Hunter 2014.06.05 14:49 신고 어느 누구도 승리한 선거는 아니였죠. 현 정권의 무능력을 심판하지 못한 아쉬움이 큽니다. 트랙백 하나 남기고 갑니다.
-
메리앤 2014.06.06 00:24 신고 변화는 더디지만, 참여는 꾸준해야 할듯 합니다.
-
투필드 2014.06.07 19:02 신고 일단은 투표율이 좀 더 높아져야 할 것 같습니다.
그 다음에는 정말 신중하게 생각하고 투표해야 하는 풍토도 정착되야겠죠.. -
메리앤 2014.06.09 11:12 신고 일단 투표참여율이 중요하단 말씀에 공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