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en Compass :: 골든컴퍼스
  • 홈
  • 글쓰기
  • 관리자
  • 태그
  • 방명록
    • 메리앤의 모든 글 N
      • 건강과 힐링& 맛과 웰빙
        • 웰빙&맛과 맛!
        • 힐링& 메디컬인포
        • 현실과 일상의 생활 심리학
      • 스토리 타임스
        • 소셜·이슈&뉴스리뷰
        • 피플&피플 휴먼스토리(사람 사는 이야기)
        • 영화·TV·애니·미디어 리뷰
        • 월드·와이드 토픽스토리
        • 스포츠 토픽
        • 부부·연애 심리
      • 에듀·컬처&커리어비전
        • 행복한 자녀교육
        • 에듀·교양·문화&교육 컨텐츠
        • 공시·학습 가이드
        • 认识대만·중국·중국어·차이나인포
      • 라이프 인포 N
        • 유익한 생활정보·리빙센스
        • AI·유튜브·블로그·IT인터넷·소셜미디어 N
        • 경제이슈& 생활경제
      • 메리앤의 포토스토리
        • 메리앤's메모리
        • 포토메모리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메뉴 닫기
에듀·컬처&커리어비전/认识대만·중국·중국어·차이나인포

詩仙 이백의 정야사(靜夜思), 고요한 가을밤의 상념

원어(原語)로 감상하는 시선 이백의 정야사(靜夜思) 오랜만에 당시(唐詩) 한 수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당대(唐代)의 시문학(詩文學)은 중국문학사에서 고대 시선집(詩選集)인 시경(詩經)과 더불어 시문학을 대표하는 시기입니다.당대 시문학의 두 거장은 바로 시선으로 일컬어지는 이백과 시성(詩聖) 두보입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이백의 정야사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고문체 (古文體) 우리나라 한자체 정야사 靜夜思 牀前看月光 (상전간월광)疑是地上霜 (의시지상상)擧頭望山月 (거두망산월)低頭思故鄕 (저두사고향)   정야사 중국어 원어 현대문 백화체와 발음기호 한어병음 (성조표시는 생략합니다)중국어 표기는 대륙식 간체자입니다. (대만은 정자체 = 한자체) 静夜思 床前明月光   (quang qian ming yue gua..

2014. 2. 23.
에듀·컬처&커리어비전/认识대만·중국·중국어·차이나인포

李白의 將進酒 [唐詩] -한어병음표기

호방한 詩仙의 세계, 李白의 將進酒 중국문학사에 있어 당나라 시대는 詩가 흥했던 시대이며, 그중에서도 詩仙 이백(이태백)과 詩聖 두보는 중국 詩문학의 양대 산맥이었습니다. 詩仙이라는 칭호답게 이백의 詩風은 호방하고 낭만적이었습니다. 이러한 이백의 대표작 가운데 將進酒는 靜夜思와 더불어 가장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장진주(將進酒) jiang jin jiu 원문 - 한자 독음 - 한어병음  백화체(구어, 서술체)로 된 현대 중국 문학 작품이 아닌 것들은 모두 古文體이기 때문에 간체자가 아닌 정자체입니다.따라서 원문 표기는 한자 정자체로 하였습니다. 君不見(군불견)  jun bu jian黃河之水天上來(황하지수천상래)  huang he zhi shui tian shang lai奔流到海不復回(분류도해불복회)  ..

2013. 12. 24.
  • «
  • 1
  • »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Powered by Privatenote/라이프코리아 Copyright © Golden Compass :: 골든컴퍼스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