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그로의 뜻, 유튜브와 한국 사회 일상⋯
- 구피 방류, 방생 아닌 이기적인 생명 경⋯
- 한국 여권 지수 세계 TOP3, 대한민국 여⋯
- 개인주의와 이기주의의 차이점, 이기적⋯
- 아르메니아 소녀들이 한글 피켓을 든 이⋯
- 구미호 캐릭터 한국 토종여우의 부활과⋯
- 주예지 용접공 비하 발언, 커뮤니티·SN⋯
- 유튜버 금지! '노튜버존'이 늘어나는 이유
- 손흥민 번리전 80m 단독 드리블 인생골,⋯
- 인도차이나 반도 '남중국해vs동해' 분쟁⋯
- 지소미아 종료 조건부 연장 유예 배경⋯
- 딸기독화살개구리 블루진, 개체의 희생⋯
- 미세먼지에 좋은 음식, 삼겹살은 효과가⋯
- 천리마마트 3회, 백수로 죽은 아빠 취업⋯
- 황의조 리그 2호골, 리그앙 9라운드 베⋯
Golden Compass :: 골든컴퍼스
중국 인건비 상승으로 진출업체 유턴, 그래도 요원한 제조업 일자리 본문
중국 인건비 상승으로 진출업체 유턴, 그래도 요원한 제조업 일자리
중국의 경제성장에 따른 인플레와 인건비 상승, 그리고 외국기업에는 더욱 엄격한 사회주의 노동환경 적용으로 저렴한 인건비에 대한 매리트가 사라지자 중국에 진출했던 업체들이 줄줄이 유턴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기업들은 주로 제조업 생산라인을 진출시킨 기업들입니다.
그중에서도 현지소싱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패션업계가 주류였는데 산업부의 발표에 의하면 생산성을 고려할 때 2017년이면 중국의 인건비는 국내의 90%선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비단 중국의 인건비 뿐만 아니라 전기, 가스 등의 비용과 한국에서 조달해오는 원부자재 수입 비용, 그리고 기술력과 생산성의 격차로 인해 중국 현지 생산의 매리트를 점차 잃어 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부 기업들은 여전히 베트남,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등 다른 진출루트를 모색하고 있기도 하지만, 기술력을 요하는 품목이나 운송비용 및 노동자 관리 교육, 해당국 세금 및 법률문제 등의 유지비용을 감안한다면 한국으로 복귀하는 것이 더 낫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또한 외국 바이어 입장에서도 중국산 보다는 '메이드 인 코리아'의 품질 인지도가 더 좋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이처럼 진출기업들이 국내로 복귀하는 것은 일단 반가운 일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많은 기업들이 다시 유턴하더라도 (고용의 퀄리티를 떠나서) 기대하는만큼의 제조업 일자리가 창출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현재 우리나라 제조업 노동환경을 보면 주로 외국인 노동자들을 선호하고 내국인은 일부 비정규직으로 충당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죠.
이러한 업종의 기업 입장에서는 지원하는 사람이 별로 없다고는 하지만, 전반적인 상황과 사실관계를 살펴보면 일부 표면적인 이유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외국인 T.O와 관련된 채용, 불완전하게 도입된 비정규직 제도, 중국vs한국의 노동환경과 삶의 질 등과 관련하여 추후 다시 개별적인 포스팅으로 유보합니다)
어쨌든 생산기반을 외국에 두었다가 다시 국내로 유턴한다는 것은 기술유출 방지와 제조업 활성화를 통한 일정 부분 고용창출 및 내수촉진 효과에도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이므로 환영할만한 일입니다.
아울러 소득 양극화와 불합리한 비정규직 문제, 실업과 고용 불안정 등에 대한 문제 해결은 곧 내수촉진, 기업 투자여력 상승, 노동생산성 증가 등과 결코 분리될 수 없는 문제이며, 더 나아가 국가 기반이 될 출산율과도 관련된 사안임을 부연하며 마무리 합니다..
- 알 수 없는 사용자 2013.04.10 07:33 중국도 인건비가 많이 상승하였군요
-
귀여운걸 2013.04.10 07:49 신고 중국 인건비 상승으로 국내로 유턴한다니 환영할 일이군요~
메리앤님 덕분에 잘 보고 갑니다~ㅎㅎ -
금정산 2013.04.10 08:08 신고 이제 중국도 인건비가 만만치 않는군요 ㅎㅎ
잘 보고 갑니다. 즐거운 수욜 멋진 시간되세요 -
부동산 2013.04.10 08:59 신고 정말 이제는 중국의 인건비도 만만치 않은 시대가 왔습니다 ㅎ
- 알 수 없는 사용자 2013.04.10 09:26 국내에 다시 들어온다고 하더라도... 가격경쟁력때문에 어떻게 이겨낼지... 중국과 일본 사이에 샌드위치니까요..ㅠ
- 알 수 없는 사용자 2013.04.10 09:58 중국도 인건비가 많이 상승하였군요
-
커피 한 잔의 여유 2013.04.10 11:20 신고 기업에게는 별로겠지만 내수를 위해선 정말 환영받을 만한 일인듯하네요.
잘 읽고갑니다~
오늘도 행운 가득한 하루 보내세요~♪ -
알 수 없는 사용자
2013.04.10 11:21
중국도 이제는 메리트가 많이 사라진 모양이군요..
국내로 유턴하는 추세라니 반가운 소식이네요. ^^ -
듀륏체리 2013.04.10 12:34 신고 제조업은 국내로 다시 들어와도 인건비 문제가 아니라..
임대료나 공장부지 문제로 인해 생산비가 상승할 수 밖에 없어..
이래저래 정말 쉽지가 않을 것 같아요^^;; -
착한연애 2013.04.10 13:11 신고 슬슬 인도로 눈을 돌리게 되겠죠 ㅎㅎ
-
누리나래 2013.04.10 14:04 신고 중국에 진출햇던 익산의 보석 가공업체들도 이제 유턴한다고 합니다.
지자체에서 상당한 지원도 하고 있구요^^
중국에서의 인거비 부담이 유턴하게 만든다고 합니다 -
카라의 꽃말 2013.04.10 16:39 신고 중국 인건비가 많이 올랐다고 하더라구요~
유익한 포스팅 잘보고갑니다~
오늘도 힘내서 아자아자~ 파이팅~ -
알 수 없는 사용자
2013.04.10 17:09
중국의 인건비가 많이 올랐군요..
잘 보고 갑니다! -
반이. 2013.04.10 21:55 신고 오호라 상승 폭이 컸나보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