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옥정, 사랑에 살다 1·2회 리뷰

장옥정·인현왕후·숙원최씨, 북벌론 이후의 당쟁.. 사극인물의 역사적 선입관 파괴  

    

   

장옥정, 사랑에 살다 1·2회 / 방송일자: 2013년 4월 8~9일 방영: SBS 극본: 최정미 연출: 부성철 출연: 김태희, 유아인, 이상엽 외

 

 

역사에서의 인현왕후와 장희빈

  

인현왕후

  

여흥민씨(與興閔氏)로 부친은 노론의 여양부원군 유중이며, 모친은 서인의 거두 송준기의 딸입니다.

1680년 김만기의 딸 인경왕후가 죽고 서인들이 다시 집권한 뒤 1681년 가례를 올려 숙종의 계비가 되었습니다만, 왕자를 낳지 못해 왕과의 관계가 원만치 못했습니다.

  

1688년 숙원 장씨가 왕자 윤(후일 경종)을 낳자 1689년 북벌파의 우암 송시열 등 노론이 윤을 원자로 봉하는데 반대하며 숙종과 대립하여 발생한 기사환국으로 희빈이 되면서 이듬해 남인들에 의해 중전 민씨(인현왕후)는 폐위되고 장희빈이 왕비로 책봉됩니다.  

  

그러나 1694년 폐비복위운동을 계기로 한 갑술환국이 일어나 남인이 실각하고 소론이 정권을 장악하면서 인현왕후는 다시 왕비로 복위하게 됩니다. 

    

  

    

장희빈(장옥정)

  

본관은 인동(仁同), 아버지 장형은 중인으로 역관(譯官)이었고, 모친은 윤씨로서 장형이 사망한 후 이조판서를 지낸 조사석의 첩이 되었으며, 조사석과 동평군 이항의 주선으로 장옥정은 궁에 들어가 자의대비전(慈懿大妃殿)의 나인이 되었습니다. 

  

빼어난 미모로 왕세자(숙종)의 마음을 사로잡았지만 그 사실이 발각되어 궁에서 쫓겨난 후 남인의 영향을 염려한 명성왕후(숙종의 어머니)가 죽은 후에야 입궐하여 숙종의 후궁(禧嬪)이 됩니다.

후궁에서 왕비의 반열에 올랐으나 김춘택 등의 서인세력이 재집권 하면서 다시 희빈으로 강등되고 이 일로 인해 후궁을 후비로 승격할 수 없는 법이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1701년 인현왕후가 죽자 숙빈 최씨의 밀고로 희빈 장씨는 인현왕후를 무고사(巫蠱事) 했다는 혐의로 사사(賜死) 되었습니다.  

   

    

  

서인과 남인 간의 권력 다툼 과정에서 함께 당쟁의 희생양이 되어 요절한 인현왕후와 장희빈은 그동안 많은 사극 드라마의 소재로 여러 차례 방영된 바 있는데, 대체로 인현왕후는 허약하나 후덕하고 인자하며 기품이 있는 이미지로, 장희빈은 자태는 아름다우나 표독스러운 이미지로 묘사되어 왔습니다.     

        

   

인현왕후와 장희빈의 기존 이미지 파괴 

   

이번에 새롭게 방영된 SBS 사극 드라마 '장옥정, 사랑에 살다' 역시 장희빈의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소재로 하고 있으나,, 기존에 방영된 바 있던 인현왕후와 장희빈에 관련된 사극 드라마에서 묘사되었던 사극 인물들의 정형화 된 이미지와는 사뭇 다르다는 느낌이 듭니다.

   

  

'장옥정, 사랑에 살다 1·2화'에서 보여진 인현왕후의 이미지는 명가댁 규수로서의 기품은 지녔으나 기존의 후덕하고 인자한 이미지가 아닌 당차고 올곧은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고,, 장옥정은 온갖 고난과 역경을 온 몸으로 인내하며 헤쳐나가야 하는, 그래서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표독스러운 기존의 이미지가 아닌  당숙의 야심과 당쟁의 희생제물로서 살아남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해야만 하는 처절한 운명을 지닌 여인의 이미지로 부각되는 개연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숙원 최씨의 경우도 예전에는 인현왕후를 애도하며 왕후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밝히는 단초가 되는 인물 정도로 묘사되었지만, 이번 드라마에서는 나름대로의 야심과 개성을 지닌 캐릭터로 부상할만한 복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영상미와 더불어 새롭게 묘사된 장면들 

  

사극이라는 것은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하지만, 역사적 사실 자체만을 극화한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전제를 감안한다면 이번 '장옥정, 사랑에 살다 1·2화'에서 시도된 몇몇 장면들은 매우 신선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장옥정이 주관한 조선시대 버전의 패션 품평회 장면이 대표적입니다.

어린 시절 강씨부인의 문하에서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의상샘플을 제작하고, 패션쇼에서의 코디네이터와 연출자 역할을 연상하게 하는 장옥정의 이미지가 아름다운 영상미와 함께 어우러져 묘사되고 있습니다.  

    

 

얼마 전 종영된 '마의' 또한 아름다운 영상미와 OST가 매우 인상적이었는데 '장옥정, 사랑에 살다 1·2화'의 한복 품평회 장면 등에서 보여진 영상미 또한 그에 못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최근 사극들에서 보여지는 이러한 다채로운 색채와 다양한 화각의 영상 묘사는 인물을 중시하는 일본사극, 대사 위주의 중국 역사드라마, 스케일과 현장감을 중시하는 미드와는 차별화 된 한류 드라마의 또 다른 컨텐츠 요소로 자리잡을 것 같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또한 기존의 정형화 된 캐릭터와 시점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과 복잡한 캐릭터의 묘사는 마치 전래동화가 현대소설로 재탄생 된 느낌을 갖게 합니다.

  

 

아직 도입부에 불과한 2회분만 방영되었지만, 위에서 언급한 이러한 부분들이 '장옥정, 사랑에 살다'의 흡인 요소로 작용하는 것만은 틀림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요소에 어울릴만한 탄탄한 구성과 다양성 및 재해석에 근거한 흥미로운 전개가 결말까지 얼마나 계속 이어질 것인가?'가 시청율과 관련된 주요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