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고 있었던 '시치미를 뗀다'의 재미있는 우리말의 유래

 

"시치미를 떼다"는 말이 매사냥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요 요즘 뿌리 깊은 나무의 인기가 한창이다 보니 한글의 소중함과 재미있는 우리말에 더 관심을 갖고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시치미는 무엇일까?

 

시치미는 매의 주인을 밝혀두는 일종의 인식꼬리표로서 매 꽁지털에 매어두는 표시물입니다.

시치미는 매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매방울과 함께 달아두는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예로(고조선시대)부터 매를 훈련시키고 길들여 꿩, 멧비둘기, 토끼 등의 사냥에 이용하였는데요,

이 매가 워낙 귀하고 비싸기에,

이 사냥매를 슬쩍하여 시치미를 떼어버리고,

사냥매를 자기의 소유로 해버리는 행위가 빈번했다고 합니다.

 

'알고도 모르는 척, 하고도 안 한 척' 딱 잡아떼는 뻔뻔한 행위를 일컫는 의미로 쓰이고 있는 '시치미를 뗀다'라는 말이 바로 여기서 유래되었습니다.

 

매사냥에-쓰이는-매보자기-질끈-그리고-시치미-이미지
매보자기, 질끈 그리고 시치미

 

매사냥과 사냥매

 

예로부터 으뜸 한량은 매사냥꾼이라 하여 매사냥 재미에 한 번 빠지면 기둥뿌리가 썩어도 모를 지경이라고 했답니다.

그리고 잘 길들인 보라매(참매) 한 마리는 열 마지기 문전옥답 하고도 바꾸지 않는다는 말이 있어요.

 

지금은 무형문화재로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유네스코에 등재하기 위한 매사냥 시연을 갖기도 했는데요, 고려시대에는 원나라가 고려에서 해동청이라 불리는 이 사냥매들을 조공이라는 징발하기 위해서 응방(鷹坊)이라는 매관청까지 두었다고 합니다.

 

해동청이 송골매, 참매, 바다매 중 어느 것을 지칭하는 것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우리나라 매들을 해동청이라 불렀다고 합니다.

참매인 보라매를 지칭한다고 보는 것이 학계의 다수설인 듯합니다.

 

매방울과-시치미를-달고-사냥에-성공한-참매-수진이
시치미와 매방울을 달고 사냥에 성공한 참매 '수진이'

 

일부 種을 제외한 대부분의 독수리는 그저 자연사한 동물이나 다른 동물이 사냥하는 것을 먹는 청소부에 불과하므로 조류 중에서 매는 부엉이와 더불어 진정한 사냥꾼으로 불릴만합니다.

 

특히 공중으로 도약해서 날아가는 새를 쫓아가 잡아채거나 또는 정지비행을 하다가 목표물로 낙하하여 사냥하는 모습은 오로지 매에게만 있는 멋진 사냥기술일 겁니다.

 

정말 실제로 너무 보고 싶어 지네요. ^^;

 

한글, 중세에 탄생한 디지털문자

 

한글, 중세에 탄생한 디지털문자

한글... 한글은 중세에 탄생한 디지털 문자입니다. 또한 문자가 없는 이민족들에게 보급될 수 있는 소통의 선물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565회 한글날입니다. 개인적인 일이 있어 오늘은 늦게 포스

mary-ann.tistory.com

의미 있는 설 명절과 까치의 설날

 

의미있는 설 명절과 까치의 설날

설 명절 의미있게 보내기와 까치의 설날 어린시절 설날의 추억 어렸을 때 가장 기다리던 명절은 뭐니뭐니 해도 설날이 으뜸이었죠. 사촌 형제들과 많은 손님들의 방문, 맛있는 음식들과 떠들썩

mary-ann.tistory.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